728x90
반응형

극장 매출은 늘었는데, 한국영화가 힘을 못 쓴다. 20231월 극장가 매출액이 흥행작들의 증가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80% 수준까지 회복했다. 1월 전체 매출액은 1241억 원으로 <아바타: 물의 길>420억 원, <더 퍼스트 슬램덩크>206억 원으로 외화들이 관객 수 회복을 이끌었다. 한국 영화는 <영웅>159억 원, <교섭>152억 원으로 3위와 4위를 이었다. 3위와 4위라곤 하지만, 두 영화 모두 손익분기점도 넘지 못하고 퇴장했다.

 

 

영화 <서치>, 단순한 흥행을 넘어서 할리우드 분위기에 ‘폭탄’ 투하

영화 는 2018년 개봉 당시,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통해서만 이야기를 전개하는 '스크린 라이프' 연출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사실 이는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만 느껴지는 부분. 영화계에 조금

enter.neocross.net

엔트맨

 

현재 한국 영화는 지난해 1213<올빼미>를 마지막으로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약 두 달간 <아바타: 물의 길>, <더 퍼스트 슬램덩크>,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에게 순서대로 빼앗겼다. <교섭> 등이 개봉일에 살짝 박스오피스 1위에 걸쳐보려 했지만,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외화가 흔들려도 어렵다.

 

 

어이없는 것은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가 혹평으로 개봉 2주 차에 평일 관객 수 3만 명대로 떨어지고, 3040세대 남자 관객들을 모았던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이제 힘빨이 떨어져 관객 수가 큰 폭으로 줄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들이 이 틈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26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25<앤트맨과 와스프: 퀀텀 마니아>107568, <더 퍼스트 슬램덩크>71141명으로 박스오피스 1위와 2위를 달리고 있으며 진선규가 처음으로 주연으로 나선 <카운트>61063명을 모아 뒤를 잇고 있다. <카운트>는 개봉 첫 날 박스오피스 2위로 출발 했지만, 바로 다음 날부터 한 단계 하락한 3위를 유지 중이다. 누적 관객 수는 168290명이다.

 

한국영화 대거 준비하나 쉽지 않다.

 

한국 영화의 부진한 성적 속 3월 반격도 준비 중이다. 조진웅 이성민이 나선 <대외비>, 유연석 차태현 주연의 <멍뭉이>, 중국 영화를 리메이크한 김다미 전소니의 <소울메이트>, 개그맨 박성광의 연출작 <웅남이> 등 다양한 장르의 한국 신작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런데 쉽지 않다. 일본 애니가 준비 중이다.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 마을로>32,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신작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38일 개봉한다.

 

 

OTT에게 잠시 공간 내어줬던 오스카, 다시 보수적인 입장으로 돌아서다.

미국 영화 시상식인 아카데미 시상식이 올해의 주인공이 될 최종 후보작(자)를 발표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극성을 부리던 지난 2년과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전세 역

enter.neocross.net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은 고토게 코요하루 작가의 동명 만화가 원작으로, 원작 만화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주간소년점프에 연재되며 누적 판매 부수 15000만 부를 기록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다. 2021년에 나온 <극장판 귀멸의 칼날:무한열차편>은 그해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으며, 국내에서도 200만 명이 이상 모았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국내서 일본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기록 중인 <너의 이름은>을 히트 시킨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신작이다. 일본에서는 이미 <스즈메의 문단속>이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지난해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더 퍼스트 슬램덩크> 등이 국내 관객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일본 영화들이 잇따라 선전한 상황이 일본 신작들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관객들이 한국 영화를 대하는 자세다. 블록버스터 영화조차 외면받고 있는 상황에서 드라마적 요소가 강한 한국영화에는 OTT가 나올테니, 그때 가서 보자는 기류가 강해서다. 뭐 불법 콘텐츠 유통 사이트인 누누티비까지 고려하지 않더라도, 이미 다양한 OTT에서 중간에 시간조차 주지 않고 바로바로 공개하니 말이다. 즉 이제는 외화 대비 한국영화가 살아남는 방법이 아니라, 극장에서 볼 만한상황을 만들어야 하는 셈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역주행한문철의 블랙박스에서 종종 나오는 이 안 좋은 말은 가요계에서는 대박 용어. 특히 이엑스아이디(EXID)가 역주행 기록을 한 후, 가요계에서는 종종 보이기까지 했다. 특히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군인들의 응원에 힘입어 브레이브걸스가 롤린’(Rollin)역주행의 아이콘으로 떴다. 그런데 그 이후의 활동은? 용감한형제가 사실상 손을 놓았다고 보는 게 맞다. 몇몇 곡을 내놓긴 했지만, 마케팅이나 홍보가 엉망이었다. 그리고 이내 해체의 순간까지 맞이했다.

 

 

걸그룹에게 연일 밀리는 보이그룹들, 방탄소년단 공백을 채울 수 있을까

한때 연예계에는 이런 말이 있었다. “걸그룹은 인기를 끌고 보이그룹은 돈을 모은다” “같은 수준의 인기라면 보이그룹이 돈이 된다”. 이유는 지갑을 여는 이들이 여성팬들이기 때문이다.

enter.neocross.net

브레이브걸스

 

'역주행 아이콘'에서 뜬금없이 해체를.

 

20173월 발매했던 롤린’(Rollin)2021년 뒤늦게 입소문을 타며 역주행의 아이콘’ ‘희망의 아이콘으로 불렸던 브레이브걸스는 최근 멤버 전원이 계약기간 만료로 소속사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를 떠났다. 멤버들은 해체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사실상 멤버들이 브레이브걸스라는 이름으로 다시 뭉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멤버들이 뿔뿔이 흩어지게 된 것도 아쉽지만, 더 안타까운 건 이들의 활동 종료가 이미 예견됐었다는 점이다. 이번 활동 종료 직전까지 브레이브걸스의 공식 활동은 지난해 출연한 엠넷 퀸덤2’였다. 같은 해 12월 첫 단독 콘서트 개최를 예고했지만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콘서트가 무기한 연기된 이후 브레이브걸스는 컴백도, 콘서트 개최도 없이 최근까지 공백을 이어왔다.

 

 

브레이브 엔터테인먼트, 팬 무시?

 

이 과정에서 일부 팬들은 브레이브걸스의 컴백 활동을 요구하며 소속사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 인근에 플래카드를 설치하는 등 단체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때도 소속사는 이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역주행 이후 브레이브걸스가 자신들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 안타까움을 더한 것이다.

 

역주행 이후 음반 활동에서도 아쉬움은 있었다. ‘롤린역주행에 힘입어 다시 활동의 물꼬를 텄지만 이후 발매한 치맛바람’ ‘썸머퀸’ ‘땡큐등 내놓는 곡마다 혹평이 이어졌다. 대부분 롤린의 힘에 기대, 비슷한 콘셉트의 곡을 내놓았다. ‘롤린의 열풍을 한 차례 환기시켜 줄 곡을 기대했지만 오히려 역주행곡마저 지루하다는 평가를 받게끔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땡큐의 경우는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스타일링과 곡 콘셉트에 대한 비판이 잇따랐다. 생각해보면 롤린이 발매 됐을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곡의 분위기와 맞지 않는 콘셉트에 대한 지적이 컸다. 때문에 롤린이 역주행 기류를 타면서 팬들은 앨범 커버와 스타일링, 콘셉트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브레이브엔터테이먼트가 이를 적극 수용하면서 역주행에 불을 붙일 수 있었다.

 

 

케이팝의 성장일까? 걸그룹의 성장일까?…음반 판매량 8천만장 시대의 명암.

케이팝 실물 앨범 속칭 피지컬 앨범의 성장세가 무섭다. 팬데믹 당시 콘서트도 열지 못하고, 해외 투어를 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2년 연속 30% 이상 고성장을 거듭하는 것이다. 어찌보면 당연

enter.neocross.net

 

'마의 7년'보다 기획사의 역량?

 

가요계에서 언급되는 마의 7이라는 고비를 넘기지 못한 건 같지만, 역주행 이후의 활동에 있어서 확연히 비교되는 그룹도 있다. 역주행의 원조격으로 불리는 그룹 이엑스아이디(EXID)의 경우 위아래가 역주행하면서 주목을 받았고, 그 인기를 꾸준히 잘 이어간 그룹으로 꼽힌다.

 

이들 역시 브레이브걸스와 마찬가지로 마의 7을 넘기진 못했지만, 역주행 이후 아예’(AH YEAH) ‘핫 핑크’(HOT PINK) ‘라이’(L.I.E) ‘낮보다는 잠’ ‘덜덜덜’ ‘내일해까지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갔고, 국내외 팬미팅과 콘서트도 꾸준히 개최하면서 입지를 공고히 해왔다.

 

물론 기본적으로 가수(그룹)들의 매력이나 가창력 등 개개인의 역량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어떤 옷을 입는지도 매우 중요하다. 을 입혀주는 것이 바로 소속사의 역할이다. 그룹의 정체성과 트렌드에 맞는 콘셉트와 스타일링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뿐만 아니라 가수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 예를 들어 팬미팅이나 콘서트를 비롯한 앨범, 방송 활동 등을 만들어주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새로운 사장 보스 이서진과 새로운 메뉴 분식으로 멕시코 바칼라르 접수에 나선 tvN ‘서진이네(연출 나영석, 장은정)에서 관전 포인트를 공개했다. 24일 금요일 저녁 850분에 첫 방송되는 tvN ‘서진이네가 개업일을 하루 앞두고 주목해야 할 포인트 네 가지를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한층 새로워진 콘셉트로 돌아온 서진이네의 숨겨진 재미 요소는 무엇일지 살펴봤다.

 

 

학교폭력(김동희), 가스라이팅(서예지, 김정현),음주운전(김새론)…연예인의 문제가 작품에 끼치

연예인이 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학교폭력 가해자인 김동희와 가스라이팅 논란의 서예지와 김정현이 등장하는 작품에서 이들이 하는 역할에 대중은 몰입하기 힘

enter.neocross.net

서진이네

 

관전 1. 이서진, 정유미, 박서준, 최우식, 방탄소년단 뷔, 팀케미 강화

 

서진이네에서는 이서진, 정유미, 박서준, 최우식, 방탄소년단 뷔가 뭉쳐 한층 더 강화된 팀케미를 선보인다. ‘윤식당부터 함께 손발을 맞춰온 정유미, 박서준은 사장 이서진의 든든한 양 날개가 되어주고 경력 인턴(?) 최우식과 신입 인턴 방탄소년단 뷔의 통통 튀는 활약이 조화롭게 어우러질 예정이다. 특히 인턴, 부장, 이사 등 직급으로 나뉘어 역할 분담이 확실해질 뿐 아니라 매출에 진심인 사장 이서진의 등쌀(?)을 견뎌내기 위한 직원들의 피나는 고군분투가 재미 포인트라고. 머나먼 멕시코 땅에서 한 테이블이라도 더 팔기 위해 구슬땀을 흘릴 서진이네임직원들의 생존경쟁과 가차 없는 사장님 이서진의 티격태격 케미스트리에 기대가 모아진다.

 

관전 2. 지킬 앤 하이드 같은 초보 사장 이서진의 요식업 도전기

 

윤식당부터 차근히 경력을 쌓아온 사장 이서진의 경영 방식 또한 볼거리다. 이미 여러 티저 영상을 통해 수익이 왕이다라는 명확한 철학을 내세운 이서진이 과연 매출 증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행할 것인지 궁금해진다. 무엇보다 매출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는 사장님의 보조개 움직임에 따라 직원들의 눈치는 날로 예리해져 갔다는 후문. 마치 지킬 앤 하이드와 같은 그의 컨디션에 직원들의 몸고생, 마음고생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해 초보 사장 이서진과 종업원들의 험난한 요식업 도전기는 어땠을지 주목된다.

 

관전 3. 기다렸다! 믿고 보는 나영석 PD표 예능

 

서진이네는 여러 웰메이드 예능프로그램을 만들어낸 나영석 PD의 신작으로 시청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보는 이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특유의 감성과 재미, 메시지로 따뜻한 프로그램을 선보여온 그이기에 이번 역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불특정 다수의 손님들을 모시는 방식을 취한 만큼 어느 때보다 리얼한 상황을 엿볼 수 있다고. 때문에 긴장과 초조함, 폭소와 격한 공감 등 한 편의 드라마와 같은 감동은 물론 재미와 진정성까지 한 숟가락 더 넣은 나영석 PD의 식당 예능 서진이네가 점점 기다려진다.

 

관전 4. 일곱 빛깔 호수를 품은 멕시코 바칼라르(Bacalar) 풍경이 더해줄 감동

 

멕시코 바칼라르의 아름다운 풍광도 매주 시청자들의 눈을 뗄 수 없게 만들 예정이다. 에메랄드 빛의 호수와 천혜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만끽하는 사람들의 모습 등은 보는 것만으로도 평화로워 대리 만족을 더한다. 바칼라르의 빼어난 경치가 서진이네시청자들에게 선사할 위로와 감동 또한 놓칠 수 없는 관전 포인트다.

 

이서진, 정유미, 박서준, 최우식, 방탄소년단 뷔의 분식집 도전기 tvN ‘서진이네24() 저녁 850분에 첫 방송된다. 국내는 티빙, 글로벌은 프라임비디오를 통해 서비스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