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폭력의 피해자에게 폭력 행위의 끝은 가해자의 사과와 보상이 진정성 있다고 느껴, ‘용서를 할 때다. 10년 전 일이든 1년 전 일이든, 피해자의 용서가 공개적으로 밝혀지지 않는 한, ‘폭력 행위는 현재진행형이다. 그런데 최근 학교 폭력을 비롯해 폭력의 가해자들은 사과하고 용서를 구한다라는 입장 발표를 폭력 행위의 끝이라 셀프 정의내리는 것 같다.

 

 

학교폭력(김동희), 가스라이팅(서예지, 김정현),음주운전(김새론)…연예인의 문제가 작품에 끼치

연예인이 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학교폭력 가해자인 김동희와 가스라이팅 논란의 서예지와 김정현이 등장하는 작품에서 이들이 하는 역할에 대중은 몰입하기 힘

enter.neocross.net

황영웅

 

MBN ‘불타는 트롯맨황영웅이 그렇다. 그는 과거 자신의 친구에게 폭력을 가해 벌금 50만원 처분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자, 바로 사과 입장을 밝혔다. 그의 사과문에는 사죄’ ‘반성’ ‘후회’ ‘미안’ ‘용서’ ‘죄송’ ‘반성’ ‘잘못’ ‘부족’ ‘기회등의 단어가 정신없이 쏟아졌다.

 

그리고 황영웅의 사과문이 전달된 직후 서혜진 PD가 이끄는 제작진은 재차 부족’ ‘잘못’ ‘사과’ ‘죄송등을 반복한 입장문에 억울’ ‘회복이라는 단어 몇 개를 더 만들어서 보탰다.

 

 

보도자료가 온 순서대로 보면 황영웅은 무릎 꿇고 모두에게 사과했고, 서혜진 PD가 이끄는 제작진은 그 황영웅에게 억울’ ‘회복두 단어를 통해 면죄부를 줬다. 그리고 황영웅과 제작진은 불타는 트롯맨을 그대로 순항시킬 것임을 예고했다.

 

피해자가 용서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지 않았기에 폭력 행위는 현재 진행형이지만, 황영웅과 제작진은 죄송’ ‘기회’ ‘억울’ ‘회복이란 몇몇의 단어로 폭력 행위를 이미 끝냈다.

 

황영웅이 자신의 과거를 반성하고 가수로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불타는 트롯맨뿐일까. ‘불타는 트롯맨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8억을 차지하면, 새로운 사람으로 태어날 기회를 얻는 것일까. 제작진도 비록 폭력 전과가 있지만, 황영웅이 우승을 차지하는 것이 그가 회복하는 길이라고 정말 생각하는 걸까.

 

 

“일본 불매? X까”‧여성시대 향해서도 욕설…김희철, 최군과 방송 중 실언

그룹 슈퍼주니어 멤버 김희철이 인터넷 라이브 방송 중 음주상태로 내뱉은 발언으로 난리다. 욕은 기본이고, 상식 없는 이야기도 이어나갔다. 게다가 과거 최군 생일 파티 때문에 공식 행사에서

enter.neocross.net

 

황영웅에게 새로운 기회의 시작은 불타는 트롯맨의 우승이 아니라, 과거 폭력 행위에 대한 의혹이 모두 해소되고 그 피해자들이 진정으로 용서할 때 부터다. 피해자들이 용서한다는 입장이 나오지 않는 한, 황영웅의 폭력 행위는 여전히 진행 중이고, ‘가해상황이다.

 

그런 가해자가 시청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진다고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 셈이다. 8억을 손에 쥐려고 말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중국인들이 한국 영화나 드라마 등을 도둑 시청한다고 비난을 한지 엊그제 일은 아니다. 수년째 그러고 있고, 현재도, 아마 미래에도 중국인들은 여전히 한국 콘텐츠를 공짜로 볼 방법을 찾아낼 것이다. 그런데 과연 이게 이들만의 문제일까. 해외에 서버를 둔 누누티비(noonoo) 월 시청자가 1000만명을 넘겼다. 넷플릭스와 맞먹는 수준이다.

 

 

“우린 공정하게 할겁니다”라고 외치던 <보이즈 플래닛>에서 왜 <프로듀스>의 그림자가 보일까.

‘오디션 명가’라 불리던 엠넷(Mnet)에게 시리즈는 애증의 존재다. 시리즈 이후 다소 침체했던 엠넷에게 오디션 명가라는 이름을 되찾아 준 것은 물론, 아이돌 그룹을 보유하거나 보유하려는 기

enter.neocross.net

누누티비

 

누누티비에는 국내 어지간한 콘텐츠들은 다 있다.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디즈니플러스, 쿠팡플레이 등 국내외 OTT 콘텐츠들 뿐 아니라, 국내외 영화까지 망라되어 있다. 여기에 과거 드라마나 영화 콘텐츠도 웬만하면 다 들어가 있다. 누누티비를 접한 이들은 시청의 다소 불편함이 있더라도 기존 OTT를 삭제하고 누누티비로 옮긴다. 자막 상태 등을 고려하면 아마 누누티비를 시청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국인일 것이다. 이 시점에서 과연 중국인들을 욕할 수 있을까.

 

 

이에 도를 지나쳤다고 판단한 웨이브, 티빙 등 국내 OTT는 지상파방송사, 종합편성채널과 저작권 대응 협의체(가칭)’를 구성해 방송영상콘텐츠 불법유통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방송영상콘텐츠 불법유통 방지 등 저작권 보호와 수사를 요청하고, 정부·공공기관 대상 저작권 보호 강화와 저작권 침해 수사 촉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 등을 공동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 불법 유통을 막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다. 지금도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영상 또는 사이트 등을 차단하고 있으며, 심각할 경우 사업자 등이 경찰 고발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신정환‧슈‧박유천 등 복귀하고, 김희철‧비비 막말하고…인터넷 방송 언제까지 이런 수준일

인터넷 방송은 자유롭긴 하다. 그래서 지상파나 종편, 케이블에서 해보지 못한 내용들을 담기 위해 제작진들이 이동하기도 하고, 연예인들도 막말 하기 좋은 공간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이것이

enter.neocross.net

 

다만 운영자를 검거하는 것이 힘들며, 검거한 이후 처벌도 미미해 고발 조치가 적극적으로 이뤄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 아예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어 제재가 어려운 경우도 대다수다. 접속이 차단되더라도 또 다른 사이트를 열어 불법유통을 지속하는 등 이러한 사이트들을 원천 차단하는 것은 힘든 상황이다.

 

콘텐츠 제작사들이 과연 방법이 있을까.

 

우선 더 부지런히 불법 유통된 영상 사이트들을 신고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다. 불법 사이트는 물론, 유튜브를 통해서도 콘텐츠들이 공유되곤 한다. 수익과 직결되는 문제이기에 제작사들도 민감하게 이를 지켜본다. 전문 대행사들을 통해 수시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아마 여러 곳에서 이러한 방식을 활용 중이다.

 

그러나 빠른 글로벌 OTT들도 사실상 원천 차단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원천 차단 방식은 지금으로선 힘들다고 봐야 한다.

 

결국 이 부분 역시 사용자들의 양심에 맡겨야 하는 상황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극장 매출은 늘었는데, 한국영화가 힘을 못 쓴다. 20231월 극장가 매출액이 흥행작들의 증가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80% 수준까지 회복했다. 1월 전체 매출액은 1241억 원으로 <아바타: 물의 길>420억 원, <더 퍼스트 슬램덩크>206억 원으로 외화들이 관객 수 회복을 이끌었다. 한국 영화는 <영웅>159억 원, <교섭>152억 원으로 3위와 4위를 이었다. 3위와 4위라곤 하지만, 두 영화 모두 손익분기점도 넘지 못하고 퇴장했다.

 

 

영화 <서치>, 단순한 흥행을 넘어서 할리우드 분위기에 ‘폭탄’ 투하

영화 는 2018년 개봉 당시,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통해서만 이야기를 전개하는 '스크린 라이프' 연출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사실 이는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만 느껴지는 부분. 영화계에 조금

enter.neocross.net

엔트맨

 

현재 한국 영화는 지난해 1213<올빼미>를 마지막으로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약 두 달간 <아바타: 물의 길>, <더 퍼스트 슬램덩크>,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에게 순서대로 빼앗겼다. <교섭> 등이 개봉일에 살짝 박스오피스 1위에 걸쳐보려 했지만,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외화가 흔들려도 어렵다.

 

 

어이없는 것은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가 혹평으로 개봉 2주 차에 평일 관객 수 3만 명대로 떨어지고, 3040세대 남자 관객들을 모았던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이제 힘빨이 떨어져 관객 수가 큰 폭으로 줄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들이 이 틈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26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25<앤트맨과 와스프: 퀀텀 마니아>107568, <더 퍼스트 슬램덩크>71141명으로 박스오피스 1위와 2위를 달리고 있으며 진선규가 처음으로 주연으로 나선 <카운트>61063명을 모아 뒤를 잇고 있다. <카운트>는 개봉 첫 날 박스오피스 2위로 출발 했지만, 바로 다음 날부터 한 단계 하락한 3위를 유지 중이다. 누적 관객 수는 168290명이다.

 

한국영화 대거 준비하나 쉽지 않다.

 

한국 영화의 부진한 성적 속 3월 반격도 준비 중이다. 조진웅 이성민이 나선 <대외비>, 유연석 차태현 주연의 <멍뭉이>, 중국 영화를 리메이크한 김다미 전소니의 <소울메이트>, 개그맨 박성광의 연출작 <웅남이> 등 다양한 장르의 한국 신작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런데 쉽지 않다. 일본 애니가 준비 중이다.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 마을로>32,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신작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38일 개봉한다.

 

 

OTT에게 잠시 공간 내어줬던 오스카, 다시 보수적인 입장으로 돌아서다.

미국 영화 시상식인 아카데미 시상식이 올해의 주인공이 될 최종 후보작(자)를 발표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극성을 부리던 지난 2년과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전세 역

enter.neocross.net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은 고토게 코요하루 작가의 동명 만화가 원작으로, 원작 만화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주간소년점프에 연재되며 누적 판매 부수 15000만 부를 기록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다. 2021년에 나온 <극장판 귀멸의 칼날:무한열차편>은 그해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으며, 국내에서도 200만 명이 이상 모았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국내서 일본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기록 중인 <너의 이름은>을 히트 시킨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신작이다. 일본에서는 이미 <스즈메의 문단속>이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지난해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더 퍼스트 슬램덩크> 등이 국내 관객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일본 영화들이 잇따라 선전한 상황이 일본 신작들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관객들이 한국 영화를 대하는 자세다. 블록버스터 영화조차 외면받고 있는 상황에서 드라마적 요소가 강한 한국영화에는 OTT가 나올테니, 그때 가서 보자는 기류가 강해서다. 뭐 불법 콘텐츠 유통 사이트인 누누티비까지 고려하지 않더라도, 이미 다양한 OTT에서 중간에 시간조차 주지 않고 바로바로 공개하니 말이다. 즉 이제는 외화 대비 한국영화가 살아남는 방법이 아니라, 극장에서 볼 만한상황을 만들어야 하는 셈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