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터넷 방송은 자유롭긴 하다. 그래서 지상파나 종편, 케이블에서 해보지 못한 내용들을 담기 위해 제작진들이 이동하기도 하고, 연예인들도 막말 하기 좋은 공간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이것이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의 복귀 창구로 쓰이는 것은 영 마뜩찮다. 신정환, , 박유천이 그렇다. 그리고 아무리 자유로워도 본인은 지상파 등에서 활동하면서 여기서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도 영 아니올씨다다. 최근 김희철이 그랬고, 비비가 그랬다. 이게 정상일까.

 

 

아직도 연예인 가족에 의지해 예능 만드는 방송가, 도대체 언제까지.

연예인들의 부모, 아내, 남편, 자식들까지 예능에 나오는 상황에 대해 비판하는 흐름은 10년이 넘은 듯 싶다. 그 과정에서 본인이 혹은 가족 구성원이 사고를 쳐서, 가족 전체가 곤란해 지는 상황

enter.neocross.net

김희철

 

해외 원정 도박 논란으로 긴 자숙 기간을 거친 뒤 여러 차례 방송 복귀를 시도했던 신정환이 최근 BJ로 데뷔했다. 인터넷 개인 방송 플랫폼 플렉스티비에서 라이브 방송을 통해 시청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 중이다.

 

지난 2017년 엠넷 프로젝트S: 악마의 재능기부를 비롯해 2018JTBC ‘아는 형님’, 2021TV조선 부캐전성시대등 여러 차례 방송에 모습을 드러냈던 신정환은 거센 비난 또는 무관심에 가까운 싸늘한 반응을 얻으며 활동을 이어가지 못했었다. 이에 결국 인터넷 방송 통해 다시금 본격적으로 방송 활동을 시작 중인 것이다.

 

 

문제는 이 방송에서 당시 논란을 가볍게 소비하며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신정환은 시청자들이 과거 논란을 거듭 언급하자 뎅기열 다 내렸다. 그만해라. 13년 됐다. 초등학생이 대학생 된 나이라며 불편함을 드러내는가 하면, “뎅기열 치료법이 어떻게 되냐라는 질문에 썰어버린다라고 답하기도 했다. 또한 뎅기열이 내 드립이 아니다. 이걸 알려주신 형님이 있다”, “그 형님과 조만간 전화통화를 해서 썰을 들려주겠다고 말하는 등 논란 자체를 소재로 삼기도 했다.

 

도박 논란으로 활동을 중단했던 슈 또한 플렉스티비 통해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서 빚투논란에 휩싸였던 이혁재 또한 유튜브 채널 통해 시청자들을 만나고 있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뒤, TV 프로그램 출연이 힘들어진 연옌인들이 인터넷 방송을 통해 우회적 복귀를 하는 꼼수와도 같은 방식들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 특히 슈는 당시 후원금 들어올 때 춤을 추고, 노출이 있는 의상을 입어 복귀 방송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학교폭력(김동희), 가스라이팅(서예지, 김정현),음주운전(김새론)…연예인의 문제가 작품에 끼치

연예인이 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학교폭력 가해자인 김동희와 가스라이팅 논란의 서예지와 김정현이 등장하는 작품에서 이들이 하는 역할에 대중은 몰입하기 힘

enter.neocross.net

 

논란 연예인만의 문제는 아니다. 인터넷 방송 출연이 잦아진 연예인들이 이곳에서 선을 넘는 발언 및 언행을 선보여 부정적 이슈를 양산하기도 한다. 김희철은 최군의 인터넷 생방송 최가네에 출연해 일본 불매 운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불매운동이 있을 때 X까라고 했다라는 발언을 해 논란을 빚었다. 또한 자신의 비방글을 작성했다며 고소했던 다음 카페 커뮤니티 여성시대를 향해 아무도 모르는 것은 괜찮지만 여성시대 이 XXX들이라고 욕설을 내뱉었고, 이에 최군이 김희철을 제지하며 마이크를 끄는 일이 벌어졌다.

 

이 외에도 가수 비비가 지난해 11월 침착맨의 방송에 게스트로 출연, 라이브 방송을 이어나가던 중 어떻게 하면 (시청자 수가) 더 올라가냐?”라고 물으며 상체를 숙여 의도적 노출을 했다라는 비난을 받았다. 침착맨이 그냥 얘기하다 보면 알아서 오신다라며 그의 행동을 제지하자 비비가 옛날에 인터넷 방송 보니 그런 분들이 많은 것 같더라라고 설명했던 것. TV 프로그램과 달리,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날것의 매력을 추구하는 인터넷 방송의 강점을 잘못된 방식으로 활용하는 연예인들도 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인터넷 방송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규제가 이뤄지고는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내 모니터 요원들이 인터넷 방송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문제가 되는 방송에 대해선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기도 한다.

 

다만 인터넷 방송의 유해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도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시정조치는 소수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지난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양정숙(무소속)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해 2017년부터 20217월 말까지 인터넷 개인방송에 대한 심의 건수 1567건 가운데 10%158건만 시정요구가 됐다고 밝히면서 “ICT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이 크게 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유해 정보 관리 체계가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