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상파와 OTT, 종편, 유튜브 등 플랫폼간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제작진들도 따로 구분해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는다. 이런 흐름은 이미 꽤 오래 되었는데, 여기서 눈길을 끄는 것은 PD들의 도전이다. 단순히 플랫폼 이동이 아닌, 장르 자체의 이동이다. 즉 시사 다큐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PD들이 예능에 도전하고 있다.

 

SBS 시사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이동원 PD관계자 외 출입금지통해 예능 분야에 도전한다. ‘무한도전’, ‘라디오스타김태희 작가와 손을 잡고 외부인은 다가갈 수도 들여다볼 수도 없는 관계자 외 출입금지 구역에 출입증을 받고 입장해 미지에 쌓인 금지구역의 이야기를 한다.

 

 

카카오 엔터의 <소녀 리버스>, 메타버스 예능의 ‘희망’ 될까.

메타버스 예능은 그 어떤 형태로든 막대한 돈이 투입된다. 메타버스 업계에서는 회당 수 억 이상이라고 본다. 그런데도 줄줄이 망한다.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의 가 관심 받는 이유다. 가 메타버

enter.neocross.net

관계자 외 출입금지

 

최근 서울 남부 구치소에 들어가 교도관들의 이야기를 담아냈으며, 현재 인천공항의 방문이 예정돼 있다. 프로그램을 기획한 이유부터 첫 장소로 선정된 서울 남부 구치소까지. ‘관계자 외 출입금지에는 이 PD, 고혜린 PD의 전작 경험들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고혜린 PD는 이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에 대해 저도 궁금한 이야기 Y’를 통해 취재를 하면서 금지구역에 들어가기도 하는데, 많이 쫓겨나기도 한다. 그러면 사람들이 안에 어떤 이야기가 있는지 궁금하다고 하더라. 궁금증을 풀어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했다고 설명했었다. 구치소는 이 PD그것이 알고 싶다를 연출하며 자주 드나들었던 공간인 만큼 시청자들이 어떤 공간을 궁금해할까?’라는 질문을 던졌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가 됐다.

 

 

이를 양세형, 김종국 등 연예인들의 간접 체험 통해 풀어내면서 시청자들의 심리적 진입장벽을 한층 허물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도관들의 미처 몰랐던 고충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면서 예능과 시사, 교양이 만났을 때 어떤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MBC 시사교양본부에서 기억록비롯해 ‘PD 수첩과 짧은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했던 최별 PD는 웹예능 오느른으로 시청자들을 만나고 있다. PD는 전북 김제의 한 폐가를 고쳐 생활하는 모습을 브이로그 형태로 담아 시청자들에게 편안한 재미를 선사했었다. 김제의 고즈넉한 풍경과 시골살이가 처음인 최 PD의 좌충우돌 일상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는 다큐멘터리 형식을 구현하면서 그간 쌓은 역량을 제대로 드러냈다.

 

 

<솔로지옥2> <스킵> <좋아하면 울리는>…지난해 30개 쏟아졌던 연애예능, 올해는 망했구나

지난해 지상파, 케이블, OTT 등에 쏟아진 연애 예능만 30여 개. 넷플릭스 과 ‘나는 솔로’ 등이 화제를 모았고, 이어 다양하지만 했는지도 모를 연예 예능들이 쏟아졌다. 그런데 이제 시청자들도

enter.neocross.net

 

JTBC 다큐멘터리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고양이 사전’, ‘A.C. 10’을 연출한 이선우 PD는 티빙 얼라이브에 접목, 고인이 된 아티스트들을 AI 기술로 복원해 낸 바 있다. 이 외에 그것이 알고 싶다의 배정훈 PD는 웨이브 예능 국가수사본부, ‘PD수첩의 장호기 PD는 넷플릭스 예능 피지컬: 100’으로 시청자 만날 예정이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들이 만든 예능은 무겁지 않다. 기본적으로 예능을 많이 접할 수 밖에 없는 방송국 내부 사정상 자연스럽게 시사와 다큐의 무게감을 어떻게 덜어내는지도 알 것이다. 때문에 어찌보면 예능 PD들 보다도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색다른 시선으로 펼칠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32526일 서울 공연에 이어 싱가포르, 대만 타이베이, 일본 오사카·사이타마·가나가와·아이치, 미국 샬럿·벨몬트 파크· 워싱턴 D.C·덜루스·샌안토니오·로스앤젤레스 등 13개 도시에서 총 21회에 걸쳐 두 번째 월드투어 콘서트 액트: 스위트 미라지’(ACT : SWEET MIRAGE)를 개최한다.

 

그런데 티켓 가격이 어마어마하다. 오프라인 티켓 가격이 VIP 19 8000원, 일반석 15 4000원이다. 온라인 공연도 하루권이 5 9400원, 이틀권은 11만원이다. 지난해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첫 월드투어의 경우는 전석 13 2000원이었다.

 

 

MC몽‧싸이‧유승준‧송승헌‧장혁…라비, 오랜만에 ‘병역 비리’ 선배들 소환.

수년 간 연예계에서 음주운전, 마약, 성범죄, 세금 탈루 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병역비리는 한동안 보이지 않았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병역비리 후 받는 비난이 어떠한지 알고, 여기에 오히

enter.neocross.ne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어마어마하다면 비교 대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같은 장소에서 하는 가수들과 비교해 보자.

 

크러쉬는 132000원에, 코난 그레이의 첫 단독 내한 공연은 121000원에, 임재범은 154000원에, 싸이는 165000원이었다.

 

 

그렇다고 투모로우바이투게더만 뭐라 하는 것이 아니다. 크러쉬나 싸이, 임재범의 콘서트 티켓값도 결코 싼 게 아니다. 최근에 뮤지컬도 20만원 전후이고, 연극계도 일부 티켓 가격이 10만원을 넘어섰다. 영화도 제대로 감상하려면 두 명이서 4~5만원은 기본이다.

 

공연통계업체 폴스타(Pollstar)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상위 100대 투어의 평균 티켓 가격은 96.17달러를 기록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23%가 오른 것이다. 1996년 이후 가격 인상률은 무려 250%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북미 지역의2019년 대비 평균 티켓 가격은17.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공연에 드는 비용이 올라갔지만, 티켓값 인상에는 부담을 느꼈던 기획사들이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티켓값을 올리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티켓 가격은 기획사와 가수들이 책정할 문제다 100만원이라 할지라도 볼 사람은 볼 것이고, 1만원이라 하더라도 안 볼 사람은 안본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람들이 인식하는 적정가격이라는 것이 있다. 그런데 어차피 사 줄팬들만 믿고 티켓 가격을 무리하게 올린다면 그게 과연 합당한 일일까. 자신들을 지지해주고, 역으로 팀을 존재하게 하는 팬들의 등골을 빼어서 팀이 유지된다면 그게 얼마나 갈까.

 

더욱이 소속사라도 중소형이라면 이해가 간다. 국내에거 몇 손가락 안에 드는 기획사들이 무리하게 티켓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은 언젠가 부메랑이 되어 돌아갈 것이다. 팬들이 없는 그룹이 존재할 이유는 없으니.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난해 8월 방송한 엠넷 댄스 서바이벌 '스트릿 우먼 파이터'(이하 '스우파')에 출연했던 코카앤버터가 지난해 데뷔 앨범 '미데야', 허니제이는 '허니 제이 드롭' 프라우드먼은 음원은 프로듀싱 그룹 라스와 손 잡고 '런런'을 발표했다.

 

그런데 이들이 가수라는 영역에 들어가기 위해 음원을 발표하는 것이 아니다. 댄서들의 권리를 스스로 지키기 위한 움직임이다. 코카앤버터, 허니제이, 프라우드먼은 노래를 위한 음악이 아닌, 퍼포먼스를 위한 음원이기 때문이다.

 

스우파

 

다른 크루의 멤버들이 다른 분야로 활동 영역을 확장했다면 이들은 댄서로서의 영역을 확대한 행보라는 것이 차별점이다.

 

'스우파' 열풍이 분 후 많은 사람들이 춤을 즐기고 댄서라는 직업에도 관심을 갖게 됐지만, 안무 저작권 개념이 정확하게 정립돼 있지 않아 이들의 권리는 여전히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

 

소설, 웹툰, 노래 등으 창작물은 저작물에 대한 법률이 잘 마련돼 있지만 안무는 저작권의 개념이 잘 잡혀있지 않고 있다. 저작권법 4(저작물의 예시)에 따르면 '연극 및 무용'을 엄연히 저작물의 한 종류로 인정하고 있지만, 저작물로 등록이 돼야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록 방식에 대한 합의 부재, 창작성의 범위가 제대로 구현돼 않아 저작물 등록이 쉽지 않다.

 

 

2020년 한국저작권협회에 등록된 저작물 중 연극 저작물(안무 포함)73건에 불과하다.

 

안무 저작권의 열악한 현실로 댄서들은 소셜미디어에 안무를 만들어 올려도 음원 저작권에 가로막혀 차단된다. 유튜브에서는 조회 수만 올라갈 뿐, 노래 원작자에게 수익이 돌아간다. 이 때문에 댄서들이 SNS 상에서 댄스 영상을 올리거나 커버 댄스를 게재하기 까다로운 현실이다.

 

가수들의 안무를 만들 때 역시 소속사로부터 안무비를 지급 받지만 저작권은 소속사에게 귀속되는 시스템이다. 최근엔 댄서들이 소속사와 계약을 맺을 때 안무 저작권의 소유를 주장하는 조항을 계약서에 추가하지만, 유명한 댄서들이 아닌 이상, 저작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어렵다.

 

()안무창작가협회는 202110월 설립돼 댄서를 위한 표준 계약서의 필요성과 안무의 범위와 저작권으로서 보호를 위해 노력 중이지만, 아직까지 성과는 없다. 댄스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도 존중받지 못하는 있는 상황 속에서 코카앤버터, 허니제이, 프라우드먼은 퍼포먼스가 중심이 되는 음원 발표는, 저작권 체계가 잘 잡혀 있는 음악을 만드는 사람과 동등한 권리를 인정받기 위한 발걸음인 셈이다. 지난해 8월 허니제이가 음원 발표를 앞두고 가수로 데뷔한다는 기사에 직접 부인하고 나선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들의 행보가 과연 댄서들의 권리 찾기에 의미 있는 첫 발이 될 수 있을지는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할 일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