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뮤지컬 <베토벤>414일부터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지난 26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막을 내린지 한 달이 채 되지 않는 기간을 두고 장소를 옮기는 것이다. 굉장히 이례적이다. 호불호 갈리는 작품이라, 당연히 수정이 필요하겠지만 그 결과물을 굳이 이렇게까지 빨리 내놓을 필요는 없다. 업계에서 이례적으로 보는 이유다.

 

 

뮤지컬 <베토벤> <물랑루즈> 캐스팅 바뀌고, 무대장치 때문에 중단되고…관객에게 ‘환불’이 전

인기가 좋은 뮤지컬의 경우에는 좋은 자리와 좋은 날, 즉 자신이 원하는 배우들이 나오는 날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이돌 콘서트 티켓 전쟁 저리 가라할 정도의 수준이다. 때문에 티켓 오픈에

enter.neocross.net

뮤지컬 베토벤

 

본 공연 이후 약간의 기간을 두고 다시 공연을 올리는 경우는 많다. 뮤지컬 <데스노트>는 앞서 지난해 8월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을 마쳤고, 8개월만인 이달 28일 샤롯데씨어터에서 앙코르 공연으로 관객을 만난다. 지난달 28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 무대에 올렸던 뮤지컬 <영웅> 역시 장소를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로 옮겨 지난 17일부터 공연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과 달리 작품이 수정돼 새로운 시즌으로 돌아오기까지 통상적으로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십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이런 가운데서 베토벤은 한 달 만에 시즌2’를 내세운 것이다. 제작사에 따르면 이번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되는 시즌2의 경우 기존 초연과 달리 새로운 곡이 추가되고, 몇몇 캐릭터도 변경된다. 뿐만 아니라 일부 장면은 삭제하고 무대세트와 LED 영상 일부도 변경하면서 작품의 서사를 더 풍부하게 하고, 극에 생동감을 불어넣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초연 당시 <베토벤>에 대한 평가를 생각하면, 작품을 보완한다는 차원에선 제작진의 결단이 반갑다. 실제로 베토벤 역에 박효신·박은태·카이, 토니 역에 조정은·옥주현·윤공주 등 팬덤이 두터운 국내 최정상급 배우들이 출연했음에도 대형 뮤지컬에서 나오기 어려운 평점을 받았다. 27일 기준 인터파크에선 7.8, 예스24에선 5.6이라는 낮은 평점을 기록했다.

 

물론 <베토벤>은 무대, 연출 부분에 있어서 매우 화려하다. 댄서 6명으로 이뤄진 베토벤의 혼령들이 베토벤의 음악을 안무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나, 오케스트라 피트에 있던 연주자들이 가발을 쓰고 나와서 연주하는 장면도 흥미롭다. 뿐만 아니라 궁전의 벽으로 감싸져 있던 무대가 1막 마지막 씬을 비롯한 특정 포인트에서 개방되는데, 이 장면들에서 느껴지는 쾌감이 이루 말하기 힘들 정도로 크다.

 

 

국공립 극장들은 공연 시장 5600억 시대에 어떤 역할로 대중에게 다가갈까.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이 약 5600억원이었다. 이제 코로나19의 여파는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

enter.neocross.net

 

문제는 작품의 서사와 넘버다. 낮은 평점을 준 관객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부분은 극중 베토벤과 토니가 사랑에 빠지는 과정에 대한 개연성 부족과 뻔하고 반복적인 스토리 등을 비롯한 빈약한 서사를 꼽았다. 이미 금지된 사랑을 다룬 훌륭한 뮤지컬들은 많다. 그럼에도 관객들이 <베토벤>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선 훌륭한 음악가의 음악적 고뇌가 아닌, 사랑이야기를 봐야 할 이유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넘버 역시 엘리제를 위하여와 같이 가사를 욱여넣는 듯한 억지스러운 부분을 수정하고, 조금 더 다채로워질 필요가 있다.

 

마케팅 면에서 볼 때 이번 시즌2 공연이 한 달 남짓한 기간을 두고 열리는 것은 제법 성공적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상 시즌1이 된 예술의전당의 공연에 희소성을 부여해 마지막 티켓 예매자들의 이탈을 막을 수 있고, 새로운 시즌에 따른 변화들이 예고되면서 회전문 관람 의사가 없었던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도 충분하다.

 

 

다만 우려는 있다. 시즌1의 폐막과 시즌2의 개막 기간 사이의 간격이 한 달 남짓이라는 것이다. 이 짧은 시간 동안 작품의 서사가 얼마나 탄탄히 채워졌을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예술의전당에 맞춰 제작된 무대가 세종문화회관으로 옮겨지면서 수정도 불가피했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불과 며칠 전까지 예술의전당 무대에 오르던 배우들이 바뀐 대본과 음악을 모두 숙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걱정도 뒤따른다.

 

수백억 원의 제작비, 수년의 긴 제작 기간을 들인 베토벤이기 때문에 시즌1에 대한 혹평은 뼈아플 수밖에 없다는 점은 이해가 된다. 다만 평단의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변화를 받아들이고자 한 베토벤의 급박한 시즌2 제작이 단순히 초연 실패를 만회하기 위한 악수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기가 좋은 뮤지컬의 경우에는 좋은 자리와 좋은 날, 즉 자신이 원하는 배우들이 나오는 날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이돌 콘서트 티켓 전쟁 저리 가라할 정도의 수준이다. 때문에 티켓 오픈에 맞춰 시간과 정성 그리고 돈을 투자한다. 그러나 공연은 현장 예술이다. 배우 컨디션에 따라 교체가 되기도 하고, 무대가 뜻하지 않게 고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관객들은 환불만 받으면 끝일까. 이 논쟁이 뜻하지 않게 일어나고 있다.

 

 

국공립 극장들은 공연 시장 5600억 시대에 어떤 역할로 대중에게 다가갈까.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이 약 5600억원이었다. 이제 코로나19의 여파는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

enter.neocross.net

베토벤

 

지난 12일 오후 4시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될 예정이었던 뮤지컬 <베토벤>이 주연 배우인 박효신의 건강상 문제로 당일 취소됐다. 제작사 EMK뮤지컬컴퍼니는 절차에 따라 취소 및 환불을 진행될 것이라는 공지와 함께 관객들에게 사과의 말을 전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7일에도 <베토벤>은 배우의 사정으로 시작 시간이 20분 지연됐다. 이날 공연은 오후 2시 반에 진행될 예정이었다. 제작사는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별도의 보상은 없었다.

 

 

지난해 1225일에는 뮤지컬 <물랑루즈>가 기계 결함으로 공연을 중단했다. 2막 공연 중반 갑자기 노래가 끊기고 공연장 불이 켜졌다. 당시 제작진은 기계 결함으로 잠시 공연을 중단한다는 안내방송을 한 뒤 약 3분간 기기를 정비한 후 공연을 재개했다. 공연 종료 이후 제작사 CJ ENM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하다는 사과문을 올렸다. 역시 별도의 보상은 없었다.

 

어떤 관객은 뮤지컬 예매 게시판에 지방에서 공연을 보려고 부모님까지 모시고 서울에 오던 중 기차 안에서 취소 문자를 받았다면서 티켓을 예매하는 것도 어려웠는데 가족들의 이동 비용과 시간까지 모두 보상을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덜렁 사과문만 올리면 끝이라는 제작사의 태도가 불쾌하다고 글을 올렸다.

 

 

공연계, 코로나19 여파 끝났다,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 역대 최고치 기록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꿔놨지만, 연예와 문화계는 통째로 흔들었다. 예술 작품을 만들고 선보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대면으로 일을 하는 작업이니 말이다. 특히 콘서트,

enter.neocross.net

 

몇몇의 사례를 언급했을 뿐 뮤지컬 시장에서 공연이 지연되거나 캐스팅이 변경되는 일은 심심치 않게 발생해왔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관객들의 불만이 거세진 것은 엔데믹 이후 뮤지컬 시장 규모가 4000억원(지난해 기준)을 훌쩍 넘어섰지만 사고에 대한 대책은 부실하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나 뮤지컬 티켓 가격이 인상되면서 관객들의 불만은 더 커지고 있다.

 

뮤지컬 시장은 기존 VIP석 기준 15만원 선을 유지하다가 지난해부터 잇따라 가격 인상이 이뤄졌다. 지난해 11월 막을 올린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6만원을, 같은 해 12월 개막한 <물랑루즈!>18만원, 지난달 개막한 <베토벤>과 내한공연 <캣츠>17만원의 티켓 가격을 책정했다. 3월 개막하는 오페라의 유령은 업계 최고가인 19만원으로 뮤지컬 티켓 가격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격이 오른 만큼 관객들을 위한 티켓 정책도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는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상 제작사의 보상 기준은 자율에 맡겨져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공연이 30분 이상 지연·중단되면 티켓 값 110%를 배상해야 하지만 30분 미만일 경우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보상안을 결정한다. 주요 출연자가 바뀔 때도 자율적으로 110%를 돌려주게 돼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