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금 (뮤지컬 관객석에는) VIP석 비중이 굉장히 큽니다. (뮤지컬 관객이) 좋은 자리와 그렇지 않은 자리를 구분하고 확실하게 대우를 해주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한국뮤지컬제작사협회 회장인 오디컴퍼니 신춘수 대표 프로듀서의 말이다. 한국 뮤지컬계에서는 티켓값 상승 문제와 함께 ‘좌석 색칠’(좌석 등급 구분을 이르는 말로, 등급별로 다른 색이 칠해져 있는 좌석배치도에서 비롯) 문제도 늘 함께 거론된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좌석은 줄고, 비싼 VIP석의 비중이 점점 커지면서다.

 

뮤지컬 <베토벤> 한 달 만에 시즌2?…‘초연 실패’ 자존심 챙기려다 엉성한 작품 될까?

뮤지컬 이 4월 14일부터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지난 26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막을 내린지 한 달이 채 되지 않는 기간을 두고 장소를 옮기는 것이다. 굉장히 이례적이다. 호

enter.neocross.net

예술의 전당
ⓒ예술의전당

티켓 가격 상승에 있어서는 관객들도 불만을 내비치면서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에 동의하는 분위기다. 티켓 인상과 관련해 제작사들은 치솟은 물가에 따른 제작비 상승과 인건비를 감당하기 위한 고육지책일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VIP 좌석의 비중을 무리하게 늘리는 것에 있어서는 반감이 훨씬 크다.

신 대표 역시 “뮤지컬은 투자사들이 투자를 해서 만든 것이지 공공재가 아니”라면서 “한국 관객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제작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었고 좌석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져야 했다”고 말했다. 다만 “(제작사는)티켓 가격에 맞는 퀄리티를 보여줘야 한다”면서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좌석을 획일적으로 하지 않고, 좋은 자리와 그렇지 않은 자리를 구분하고 확실하게 대우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국 뮤지컬 시장에서도 과거엔 VIP에 대한 대우는 존재했다.

 

<오페라의 유령>(2001) 초연 당시에는 VIP석이 15만원이 책정됐는데, 이 가격에는 프로그램북 및 주차권, 공연 전 VIP라운지 이용권 등 특별 서비스가 포함돼 있었다. 2005년 내한했던 <노트르담 드 파리>는 VIP석을 60석 한정으로 25만원으로 책정하면서 인터미션 시간에 와인과 간단한 간식, 뮤지컬 CD 및 프로그램북 등을 제공하는 부대 서비스를 함께 제공했다.

 

하지만 현재 업계에서는 VIP석은 큰 메리트가 없다. 관객석의 절반 이상이 VIP석이고, 이 티켓 가격에 프로그램북 등 다른 서비스는 거의 전무하다. 최근 개막 당시 최고가 18만원(VIP석 기준)으로 이슈가 된 뮤지컬 <물랑루즈>는 VIP석이 1층을 넘어 2층까지 올라왔고, 세종문화회관 M시어터에서 공연한 연극 <아마데우스>도 1층 객석의 90% 이상을 VIP석으로 지정했다. 현재 뮤지컬 최고가 19만원인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도 VIP석 비율이 1층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암묵적으로 형성된 가격을 유지하되, 상대적으로 관객들의 거부감은 줄이면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높은 가격의 좌석인 VIP석과 R석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었다. 실제로 2000년대에 비해 2010년 VIP과 R석 비중은 두 배가량 증가했고, 현재는 많은 작품들이 공연장의 절반 이상을 VIP석으로 채우고 있다. 오죽하면 뮤지컬 팬들 사이에서 '더 이상 날아오를 곳도 없다'(공연장 1층보다 더 높은 곳의 객석 티켓을 구해 작품을 관람하는 행위를 뜻하는 은어)는 말까지 나온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태원 클라쓰’ ‘유미의 세포들’ ‘지금 우리 학교는등 인기 웹툰 지식재산권(IP)의 드라마·영화 등 영상화 성공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데, 여기에 이제 창극 영역까지 들어간다. 국립창극단이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된 정년이를 창극으로 제작한다. 3월 무대에 올라가는데, 이미 매진이란다.

 

 

뮤지컬 <베토벤> <물랑루즈> 캐스팅 바뀌고, 무대장치 때문에 중단되고…관객에게 ‘환불’이 전

인기가 좋은 뮤지컬의 경우에는 좋은 자리와 좋은 날, 즉 자신이 원하는 배우들이 나오는 날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이돌 콘서트 티켓 전쟁 저리 가라할 정도의 수준이다. 때문에 티켓 오픈에

enter.neocross.net

정년이

 

작품은 1950년대를 풍미한 여성국극을 소재로, 소리 재능을 타고난 목포 소녀 윤정년과 소리꾼들의 성장과 연대를 그린다. 전통예술 속 연극적 원형을 꾸준히 탐구해온 남인우가 연출을, ‘패왕별희’ ‘나무, 물고기, 등에서 창극 음악의 다채로움을 보여준 이자람이 작창을 맡았다.

 

그간 웹툰 원작 드라마, 영화가 크게 흥행한 것처럼 창극으로 만들어진 정년이도 반응이 심상치 않다. 창극으로는 이례적으로 개막 두 달 전에 모든 좌석이 팔렸고, 추가 공연까지 순식간에 매진됐다. 국악계의 슈퍼스타로 통하는 이자람 음악감독과 여성의 연대라는 서사에 대한 관심에 더해 탄탄한 원작을 바탕으로 하는 만큼 관객들의 기대가 높아진 영향도 크다.

 

 

사실 이번 공연은 원작이 여성국극단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국악적으로 재해석하는데 용이한 면이 있었다. 업계에서는 꼭 국악적인 원작이 아니더라도 향후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국악 공연이 꾸준히 제작될 거란 기대도 드러내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 국내 웹툰산업 매출액 규모는 약 15660억원으로 전년 대비 48.6% 증가했다. 웹툰산업 실태조사가 시작된 2017년과 비교하면 약 4.1배 증가하는 등 성장폭이 가팔라지며 인기 콘텐츠를 대거 배출해오고 있다. 매출액은 20173799억원 20184663억원 20196400억원 20201538억원으로 집계됐다.

 

젊은 관객 흡수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는 국악계에서 웹툰은 포기할 수 없는 IP라는 것이다. 다만 정년이의 성공으로, 무분별한 웹툰 원작 작품이 나타날까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이는 꼭 국악계만이 아닌, 영상화 과정에서도 나타났던 부작용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모든 웹툰 원작 콘텐츠가 흥행한 건 아닌 것처럼, 원작을 재가공함에 있어서 적합성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기가 좋은 뮤지컬의 경우에는 좋은 자리와 좋은 날, 즉 자신이 원하는 배우들이 나오는 날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이돌 콘서트 티켓 전쟁 저리 가라할 정도의 수준이다. 때문에 티켓 오픈에 맞춰 시간과 정성 그리고 돈을 투자한다. 그러나 공연은 현장 예술이다. 배우 컨디션에 따라 교체가 되기도 하고, 무대가 뜻하지 않게 고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관객들은 환불만 받으면 끝일까. 이 논쟁이 뜻하지 않게 일어나고 있다.

 

 

국공립 극장들은 공연 시장 5600억 시대에 어떤 역할로 대중에게 다가갈까.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이 약 5600억원이었다. 이제 코로나19의 여파는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

enter.neocross.net

베토벤

 

지난 12일 오후 4시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될 예정이었던 뮤지컬 <베토벤>이 주연 배우인 박효신의 건강상 문제로 당일 취소됐다. 제작사 EMK뮤지컬컴퍼니는 절차에 따라 취소 및 환불을 진행될 것이라는 공지와 함께 관객들에게 사과의 말을 전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7일에도 <베토벤>은 배우의 사정으로 시작 시간이 20분 지연됐다. 이날 공연은 오후 2시 반에 진행될 예정이었다. 제작사는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별도의 보상은 없었다.

 

 

지난해 1225일에는 뮤지컬 <물랑루즈>가 기계 결함으로 공연을 중단했다. 2막 공연 중반 갑자기 노래가 끊기고 공연장 불이 켜졌다. 당시 제작진은 기계 결함으로 잠시 공연을 중단한다는 안내방송을 한 뒤 약 3분간 기기를 정비한 후 공연을 재개했다. 공연 종료 이후 제작사 CJ ENM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하다는 사과문을 올렸다. 역시 별도의 보상은 없었다.

 

어떤 관객은 뮤지컬 예매 게시판에 지방에서 공연을 보려고 부모님까지 모시고 서울에 오던 중 기차 안에서 취소 문자를 받았다면서 티켓을 예매하는 것도 어려웠는데 가족들의 이동 비용과 시간까지 모두 보상을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덜렁 사과문만 올리면 끝이라는 제작사의 태도가 불쾌하다고 글을 올렸다.

 

 

공연계, 코로나19 여파 끝났다,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 역대 최고치 기록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꿔놨지만, 연예와 문화계는 통째로 흔들었다. 예술 작품을 만들고 선보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대면으로 일을 하는 작업이니 말이다. 특히 콘서트,

enter.neocross.net

 

몇몇의 사례를 언급했을 뿐 뮤지컬 시장에서 공연이 지연되거나 캐스팅이 변경되는 일은 심심치 않게 발생해왔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관객들의 불만이 거세진 것은 엔데믹 이후 뮤지컬 시장 규모가 4000억원(지난해 기준)을 훌쩍 넘어섰지만 사고에 대한 대책은 부실하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나 뮤지컬 티켓 가격이 인상되면서 관객들의 불만은 더 커지고 있다.

 

뮤지컬 시장은 기존 VIP석 기준 15만원 선을 유지하다가 지난해부터 잇따라 가격 인상이 이뤄졌다. 지난해 11월 막을 올린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6만원을, 같은 해 12월 개막한 <물랑루즈!>18만원, 지난달 개막한 <베토벤>과 내한공연 <캣츠>17만원의 티켓 가격을 책정했다. 3월 개막하는 오페라의 유령은 업계 최고가인 19만원으로 뮤지컬 티켓 가격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격이 오른 만큼 관객들을 위한 티켓 정책도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는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상 제작사의 보상 기준은 자율에 맡겨져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공연이 30분 이상 지연·중단되면 티켓 값 110%를 배상해야 하지만 30분 미만일 경우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보상안을 결정한다. 주요 출연자가 바뀔 때도 자율적으로 110%를 돌려주게 돼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꿔놨지만, 연예와 문화계는 통째로 흔들었다. 예술 작품을 만들고 선보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대면으로 일을 하는 작업이니 말이다. 특히 콘서트, 뮤지컬이나 연극은, 이를 즐기는 사람도 대면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다 보니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코로나가 엔데믹으로 가는 과정에서 사람들의 공연 관람 욕구는 폭발했다. 그리고 10일 발표한 인터파크 통계는 이를 증명하고 있다. 

 

 

국공립 극장들은 공연 시장 5600억 시대에 어떤 역할로 대중에게 다가갈까.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이 약 5600억원이었다. 이제 코로나19의 여파는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

enter.neocross.net

뮤지컬 물랑루즈

 

인터파크에서 판매된 공연 티켓 금액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터파크에서 작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의 티켓 판매액은 전년에 비해 134.4% 증가한 6651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이전인 2019(5276억원)에 비해 26.1%를 상회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역대 최고치인 2018년의 5442억원에 비해서도 22.2% 많다.

 

앞서 공연계는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1304억원)에는 티켓 판매액이 천억원대까지 떨어졌으나 2021(2838억원)부터 반등하기 시작했다. 이어 작년에는 팬데믹과 관련한 각종 규제의 점진적 완화와 함께 억눌렸던 공연 수요가 폭증하며 역대급 규모로 성장했다.

 

 

장르별 판매액 비중을 보면 콘서트가 46%로 가장 높고 이어 뮤지컬 41%, 클래식·오페라 7%, 연극 4%, 무용·전통예술 2% 순이다. 특히 전년에 23%였던 콘서트 비중이 46%2배 뛰어 눈에 띈다. 공연계가 정상화되면서 그간 열리지 못했던 방탄소년단, 싸이, 세븐틴, 성시경 등 인기 가수들의 콘서트들이 집중 개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작년 공연 편수는 12487편으로 전년의 8518편과 견줘 46.6% 늘었다. 장르별 편수 증가율을 보면 뮤지컬(2571)85.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콘서트(2248) 82.5%, 무용·전통예술(842), 38.3%, 클래식·오페라(4967) 29.5%, 연극(1859) 27.9% 등으로 조사됐다.

 

공연 티켓 구매자의 성별을 보면 여성이 예년(75.0%)과 같이 73.2%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이중에서도 20(24.0%)30(23.1%) 여성이 전체 공연 티켓 구매자 가운데 47.1%로 절반에 달한다. 연령별 구매자 비중을 보면 30대가 32.6%로 가장 높고 이어 2031.7%, 4021.9%, 507.5%, 104.0%, 60대 이상 2.3%으로 2030세대가 공연시장을 견인하고 있었다.

 

 

마이클 볼튼 내한공연, 주최사 KBES 향해 비난…유미‧정홍일 2시간 공연에 환불 요청 분위기

이 정도면 관객에게 재앙이다. 14일 오후 서울 구로 고척스카이돔에서는 열린 내한 공연 ‘앙코르, 마이클 볼튼 라이브 인 서울’(Encore, Michael Bolton Live in Seoul)에서 가수들의 목소리를 제외한 모

enter.neocross.net

 

장르별 최고 인기작을 보면 뮤지컬은 태양의서커스 뉴 알레그리아’, 콘서트는 싸이 흠뻑쇼 SUMMER SWAG 2022 서울’, 클래식은 ‘2022 빈 필하모닉 프란츠 벨저 뫼스트’, 연극은 쉬어매드니스’, 무용은 유니버설발레단 호두까기인형등이 이름을 올렸다

 

엔데믹 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올해 공연시장의 성장세도 가파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뮤지컬에서는 흥행이 검증된 대작, 다양한 초연작들이 개막을 앞두고 있으며 클래식 장르에서도 해외 명문 오케스트라와 아티스트들의 내한 공연이 예정돼 있다.

 

최휘영 인터파크 대표이사는 팬데믹으로 2년 이상 침체를 겪었던 공연계가 지난해는 회복은 물론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면서 공연 1위 플랫폼으로서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감동 넘치는 공연을 선보이며 공연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겠다라고 말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이 약 5600억원이었다. 이제 코로나19의 여파는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한다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을 5590억원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3897억원)보다 43% 늘었다. 티켓 판매액은 전년(2021)에 비해서는 82% 증가한 규모다.

 

 

300만 돌파한 영화 <영웅>이 뮤지컬 <영웅>과 뮤지컬 시장에 끼친 영향은?

영화 ‘영웅’이 29일 현재 누적 관객 300만명을 넘긴 했지만, 손익분기점인 350만 관객을 달성하기는 힘들 듯 싶다. 경쟁작인 이 천만관객을 돌파하고 이제 슬슬 스크린에서 내려오긴 하지만, 등

enter.neocross.net

뮤지컬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기준 작년에는 전국에서 총 14447건의 공연이 무대에 올려졌다. 공연 건수는 2021년 대비 36%, 공연 회차는 46%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한 각종 규제의 점진적 완화와 함께 그동안 억눌렸던 공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연시장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공연 시장의 확대를 견인한 장르는 뮤지컬이다.

 

 

대형 공연장, 장기 공연회차, 높은 평균 티켓 가격 등의 영향으로 티켓 판매액은 뮤지컬이 전체 공연 시장의 76%(4253억원)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뮤지컬 안에서도 라이선스, 내한 공연 등이 티켓예매순위 상위권에 다수 포진됐다. 상위 20개 공연 중 창작 뮤지컬은 단 4개에 그쳤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보고서에서 팬데믹, 대규모 사건·사고 등 공연 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외부적 요인 없이 2022년의 성장세와 탄력을 이어간다면 2023년 한국 공연 시장은 약 9000억원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양극화는 어쩔 수 없나보다.

 

팬데믹 기간, 리스크가 큰 창작 작품을 올리는 것보다 라이선스, 내한 공연 등 흥행이 보장된 유명 작품들을 올리면서 양극화는 더욱 커진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선 국공립 극장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국립정동극장, 세종문화회관 등이 제작극장으로서의 변화를 알리면서 창작 작품 개발에 힘쓰면서다.

 

지난달 31일 세종문화회관은 ‘2023 세종시즌라인업을 공개하면서 올해 제작 직군 인력을 늘려 제작 역량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극단,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서울시합창단, 서울시뮤지컬단, 서울시무용단, 서울시오페라단 등 6개 산하 예술단을 지닌 세종문화회관은 지난해부터 예술단들의 자체 제작 공연의 비중을 크게 늘려 대관이 아닌 제작 중심의 극장으로 운영 방식을 변화시켰다. 올해는 12편의 신작을 공개하는 한편 지난해 선보인 신작들을 재공연을 통해 완성도를 높여 예술단 고유의 레퍼토리로 자리 잡게 한다는 계획이다.

 

전통공연장의 이미지가 강했던 국립정동극장 역시 제작 극장으로서 변모해 창작 작품들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정동극장 측 역시 뛰어난 창작자 또는 제작사를 선정하고 예산을 지원, 작품을 무대화하는 2차 제작극장으로서 수준 높은 창작 작품의 레퍼토리화를 통해 공연예술인과 관객이 함께할 수 있는 차별화된 무대를 제공하겠다며 국립공연장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